대장경판 제작에 사용한 나무의 수량과 비중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95. 4)
1. 緖言
해인사 고려대장경판은 팔만장이 넘는 규모의 방대함은 물론 몽고군이 전국토를 점령하고 있는 국가비상시기에 장장 16년에 걸쳐 국가가 혼신의 힘을 기울여 제작하였다는 역사적의미를 포함하 고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고려 현종때 글안병을 물리치기 위하여 5,048권에 달하는 초조대장 경을 제작하여 대구 부인사에 보관하였으나 고종 19년인 1232년 몽고군침입으로 불타 버렸다. 이 에 고려조정에서는 강화도에 大藏都監 本司를 두고 진주등지에 分司를 설치, 1236년에서 1251년 까지 16년간에 걸친 대장경 경판의 板刻작업을 완성하였다. 이때의 대장경은 1496종 6568권 81,258매이다. 그후 몇번의 補遺板과 寺刊과 私刊으로 보충하였으나 매수는 그대로 보존되어 있 다. 이들은 처음 강화도 선원사에 소장되었다가 태조 7년인 1398년 서울의 지천사를 거쳐 해인사 로 이관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경판은 모두 목판이므로 제조과정과 보존현황을 비롯하여 차후의 완벽한 보존을 하기위하여 목 재과학적인 입장에서의 다각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대장경판의 보존현황의 일부를 보고 하고저 한다.
2. 材料 및 方法
표1과 같이 修多羅殿과 法寶殿의 經板庫에서 판가의 위치 및 經板의 상태를 고려하여 임의로 선 정한 經板 각각 292매와 468매로 합계 760장을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표1. 高麗大藏經 經板調査 一覽表
修 多 羅 藏 |
法 寶 殿 |
板 名 |
架番號 |
張數 |
板 名 |
架番號 |
張數 |
達 第 9-12卷 |
第 108 架 |
51 |
信華手經 第5-9卷 |
第 38 架 |
77 |
左 第 7, 8卷 |
第 108 架 |
26 |
黃 第 4, 5, 36卷 |
第 1 架 |
31 |
扶毗奈耶破僧達 第 6-9卷 |
- |
33 |
玄 第 7, 9, 28卷 |
第 1 架 |
34 |
從第22-26卷 |
第 71 架 |
71 |
光 第 1-5卷 |
- |
65 |
廣高僧傳 第 2-4卷 |
第 107 架 |
35 |
夜 第 10卷 |
- |
3 |
啓 第 1-6卷 |
第 100 架 |
76 |
虞大集經第55-60卷 |
第 18 架 |
82 |
夏 第 1-3卷 |
第 89 架 |
37 |
小計 |
|
292 |
背舍利弗呵毗曇論9-13卷 |
第 90 架 |
59 |
計 |
|
760 |
敬攝大秉論釋第1-7卷 |
第 60 架 |
80 |
小計 |
|
468 |
大藏經板은 끝달림 1g의 직시천칭을 사용하여 마구리를 포함한 무게를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마 구리포함 길이와 經板幅을 측정하고 經板의 두께는 1/20mm까지 측정가능한 callipers를 사용하였 다.
3. 結果 및 考察
3.1 經板의 치수와 중량
조사한 經板의 폭, 길이, 두께, 중량을 측정한 결과는 표 2 와 같다.
표2. 經板치수 調査 一覽表
|
|
張數 |
幅平均
(cm) |
총길이
(cm) |
양마구리
길이(cm) |
경판길이
(cm) |
두께平均
(cm) |
重量(g)
(最小-最大値) |
達9-12卷 |
(51) |
23.8 |
67.9 |
10 |
64 |
- |
2640(2312-3020) |
扶毗奈耶破僧事 第6-9卷 |
(33) |
24.4 |
77.8 |
10 |
74 |
2.03 |
3187(2622-3910) |
從22-26卷 |
(71) |
23.8 |
67.9 |
10 |
64 |
2.31 |
2854(2230-3574) |
廣高僧傳2-4卷 |
(35) |
24.7 |
78.1 |
10 |
74 |
2.95 |
3558(2610-4350) |
啓1-6卷 |
(76) |
23.8 |
67.7 |
10 |
64 |
2.93 |
3032(2370-3780) |
夏1-3卷 |
(37) |
23.5 |
67.7 |
10 |
64 |
2.91 |
2937(2642-3700) |
背舍利弗呵毗曇論第9-13卷 |
(59) |
24.4 |
77.8 |
10 |
74 |
3.01 |
3440(2790-4444) |
敬攝大秉論釋 第1-7卷 |
(80) |
24.5 |
77.7 |
10 |
74 |
2.77 |
3228(2648-4024) |
信華手經第5-9卷 |
(77) |
24.8 |
77.5 |
10 |
74 |
2.18 |
2860(2308-3580) |
玄第7, 9, 28卷 |
(34) |
23.9 |
70.5 |
10 |
66 |
3.01 |
3288(2704-3986) |
光第1-5, 夜10卷 |
(67) |
24.6 |
78.4 |
10 |
74 |
2.97 |
3617(2916-4782) |
虞大集經第55-60卷 |
(82) |
24.6 |
77.5 |
10 |
74 |
2.74 |
3239(2640-3854) |
計 |
733 |
- |
- |
- |
- |
- |
- |
平均 |
- |
24.2 |
- |
- |
- |
2.70 |
|
표 2에서 처럼 經板의 길이는 68와70cm인 부류와 78cm인 부류로 대별되며 전자의 경우가 達 9-12卷, 從22-26卷, 啓1-6卷, 夏1-3卷, 黃第4,5,36卷, 玄第7,9,28卷이며 기타 판은 모두 후자에 속한다. 68cm인 경판이 조사판수에 대하여 약 32%, 70cm가 9%, 그리고 78cm가 59%정도이다. 한편 經板길이는 양마구리 속으로 들어간 약 2cm를 고려하면 경판길이는 62cm, 64cm, 72cm를 최종 마 무리 치수로 상정하고 제작 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經板의 폭은 夏1-3卷, 達9-12卷, 從22-26卷이 약간 좁고, 信華手經 5-9卷등이 약간 넓으나 그 차이는 1cm이내에 불과하며 經板의 대부분은 폭이 24-25cm정도이다. 따라서 經板의 폭은 24.5cm 을 표준으로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고 제작과정 및 건조과정에서 약간씩 폭의 차이가 생긴 것으로 생각된다.
經板의 두께는 2-3cm의 범위에 있으며 평균2.5cm정도이나 3cm전후의 두께가 약 반수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아 대부분 3cm를 마무리치수로 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방사방향 두께收縮率을 감안하 더라도 背舍利弗呵毗曇論 第9卷의 3.14cm에서 信華手經第6卷의 1.85cm까지 두께의 변이가 크며 이는 자귀를 사용하여 粗表面가공한 원시적인 가공방법도 한 원인일 것으로 추정된다.
經板중량은 經板에 따라 그 변동이 매우 심하고 최소 達9권 37,38張의 2312g에서 최고 背舍利弗 呵毗曇論 第9卷 19,20張의 4444g까지 거의 2배에 달하는 중량의 차이가 있다. 68cm 및 70cm經板 의 경우는 약 2600-3300g, 78cm經板의 경우는 약 3200-3800g의 범위에 있다. 이는 길이와 두께의 차이도 영향이 있겠으나 사용재료의 樹種에 따른 比重의 차이 때문으로 생각한다.
3.2 경판의 목취방법과 재적추정
3.2.1 목취방법
經板의 板面은 대부분 나이테에 평행한 接線斷面板材(板目材)인데 이것은 大藏經을 刻板하기 위 하여 적당한 직경을 가진 原木을 伐採한 다음 髓를 포함하지 않은 넓은 經板材를 얻을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다. 經板幅에 해당하는 板材를 얻기위하여는 原木은 적어도 직경이 40cm이상의 곧 고 우량한 나무를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接線斷面板材는 나이테에 직각인 放射斷面板 材(柾目材)보다 굽음이나 비틀림이 훨씬 생기기 쉽다. 따라서 經板의 板面은 평면을 유지하지 못 하고 나비굽음이 특히 심하다.
3.2.2 재적추정
경판 및 마구리의 총재적은 표 3과 같다.
표3. 경판 및 마구리의 총재적 계산표
경판길이 (cm) |
경판두께
(cm) |
경판폭
(cm) |
점유비율
(%) |
추정경판수 (장) |
경판재적
(m3) |
마구리
길이(cm) |
마구리폭
(cm) |
마구리
두께(cm) |
양마구리
재적(m3) |
64 |
2.7 |
24 |
32 |
26,003 |
107.84 |
24 |
5 |
4 |
24.96 |
66 |
2.7 |
24 |
9 |
7,313 |
31.28 |
24 |
5 |
4 |
7.02 |
74 |
2.7 |
24 |
59 |
47,942 |
229.89 |
24 |
5 |
4 |
46.02 |
계 |
- |
- |
100 |
81,258 |
369.01 |
- |
- |
- |
78.00 |
표3과 같이 81,258장 경판의 총재적은 약 370m
3 , 양마구리 재적 78m
3로서 경판과 마구리의 총 재적은 약 450m
3에 달한다.
한편 사용된 통나무재적을 구한 결과는 표 4와 같다. 경판의 재제방법은 gang saw에 의한 접선 단면판재를 제재한 것으로 추정되므로 직경별 목취가능판수를 그림 1과 같이 Scribner Log Rule 의 방식을 준용하여 계산하였다.
표4. 원목직경당 경판제재 수율 계산표
구 분 |
산출근거 |
원목직경(cm) |
40 |
50 |
60 |
70 |
80 |
90 |
100 |
단면적(cm2) |
πγ2 |
1,256 |
1,963 |
2,826 |
3,847 |
5,024 |
6,359 |
7,850 |
목취판수(장) |
- |
2 |
6 |
8 |
14 |
24 |
28 |
38 |
경판면적(cm2) |
5x30 |
300 |
900 |
1,200 |
2,100 |
3,600 |
4,200 |
5,700 |
경판면적/단면적(%) |
- |
23.9 |
45.9 |
42.5 |
54.6 |
71.7 |
66.0 |
72.6 |
표 4에서 처럼 경판의 제재수율(경판면적/단면적비)은 6-18%에 불과함을 알 수 있고 또 사용원목 의 직경은 gang saw의 길이와 운반수단의 원시성을 고려 해 볼 때 직경 60-70cm이하가 대부분이 라고 생각할 수 있다. 실제의 제재수율은 40%전후로 추정되고 사용된 원목의 양은 약 1,000m
3정 도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추정의 근거로는 경판의 대부분이 접선단면 판재인 점에서도 뒷받침 된다.
3.3 비중의 추정
3.3.1 비중추정방법
그림 2와 같이 경판과 마구리의 치수를 기준으로 체적을 계산하고 무게를 체적으로 나누어 개략 적인 비중을 구하였다. 경판은 刻字한 부분의 면적이 경판길이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하였으므로 刻字부분의 면적은 a=22x51=1122cm2로 계산하였다. 한편 각자부분중 글씨가 새겨지지않은 부분 b 는 사선법에 의하여 85%이므로 b=1122x0.85=954cm2이다. 그런데 刻字의 높이가 약 2mm이고 양면 이므로 刻板해낸 부분의 공간 c=954x(0.2+0.2)mm=382cm2이다. 따라서 경판의 기건비중(Sg)은
Sg=(경판중량+마구리중량)/{(경판체적-382)+마구리체적}로 계산하였다.
3.3.2 비중조사결과
비 중 |
수다라장 |
법보전 |
판수(장) |
점유율(%) |
판수(장) |
점유율(%) |
0.51(0.50-0.52) |
0 |
0 |
2 |
0.7 |
0.54(0.53-0.55) |
11 |
2.9 |
7 |
2.5 |
0.57(0.56-0.58) |
21 |
5.5 |
23 |
8.2 |
0.60(0.59-0.61) |
49 |
12.9 |
38 |
13.5 |
0.63(0.62-0.64) |
60 |
15.7 |
50 |
17.8 |
0.66(0.65-0.67) |
72 |
18.9 |
47 |
16.7 |
0.69(0.68-0.70) |
42 |
11.0 |
30 |
10.7 |
0.72(0.71-0.73) |
33 |
8.7 |
20 |
7.1 |
0.75(0.74-0.76) |
26 |
6.8 |
17 |
6.1 |
0.78(0.77-0.79) |
16 |
4.2 |
12 |
4.3 |
0.81(0.80-0.82) |
16 |
4.2 |
14 |
4.9 |
0.84(0.83-0.85) |
13 |
3.4 |
7 |
2.5 |
0.87(0.86-0.88) |
7 |
1.8 |
5 |
1.8 |
0.90(0.89-0.91) |
5 |
1.3 |
5 |
1.8 |
0.93(0.92-0.94) |
5 |
1.3 |
2 |
0.7 |
0.96(0.95-0.97) |
4 |
1.1 |
1 |
0.4 |
0.99(0.98-1.00) |
1 |
0.3 |
1 |
0.4 |
계 |
381 |
100 |
281 |
100 |
4. 結 論
1. 경판의 치수는, 길이는 68와 70cm인 부류와 78cm인 부류로 대별되나 78cm가 가장 많다. 폭은 24-25cm, 두께는 2-3cm, 무게는 약 2600-3800g의 범위에 있다.
2. 經板의 板面은 대부분 接線斷面板材(板目材)고 사용한 原木의 직경은 40-70cm로 추정된다.
3. 81,258장 경판의 총재적은 약 370m3 , 양마구리 재적 78m3로서 총재적은 약 450m3이며 제재수 율을 40%로 볼경우 사용된 통나무의 총재적은 약 1,000m3에 달한다.
4. 기건비중의 범위는 대부분 0.6-0.7의 범위에 있다.